작가 노트 Artist's Statement
The fundamentally Subjective Study of the order of Matter and Human Nature
; Height, Depth, and Flow
Small things gather and they compose this great world.
This is an Ichi (fact, reason, logic...) which is neither philosophical nor disputable. So, these things that we learned from school (its names are atom, quark, and whatever) gather and compose something. They form not only its shape and size but also its own nature. Interesting. Small, unconscious grains make objects, and even living things that think and feel. These living things create their own society and rules. They also evolve into unexpected things, such as mutations. This change applies to both individuals and groups. There is a certain order in it. The world we see is clear, but our understanding of it is opaque. As clear as it is, it is opaque. The order is mysterious.
I believe the most fundamental order of the world is Height, Depth, and Flow.
It includes physical properties of objects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humans. The essence of the research is about the promise, which is an interaction between all living things(including humans) and inorganic substances. The promise means order. The order moves material and emotion. The world’s order makes the process visible. There is no result. The process of creating harmony is what we call the world. Orders create Gap. Gap can mean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t also can represent space or time from one place to another. Gap implies distance, which means the balance between pulling and pushing energy.
-Material's Gap: A distance that is constantly moving and maintained, such as the planets in the universe, and the atoms in material.
-Human's Gap: Human beings even keep a distance from themselves. That distance causes a gap, and it becomes anxiety. A gap between people causes conflict.
Distance includes height. ‘Being high’ only can exist with ‘being low’. It does not just imply ‘the status of high or low’, or ‘a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no power’. It signifies a bit more primitive thing: a basic instinct, or thing before that.
The world, as a process of order and harmony, physically presents 'Height, Depth, and Flow'.
The mental and emotional parts of humans are not much different. We create our own values and act according to them. Some devote their lives constantly trying to be high, some to be endlessly free, and some to be deepened. It's hard to accept something different from ourselves. In our head, we know that we ough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ut it is just not easy. As territorial animals, we want to be eternal in my realm, but the world is a collection of different things.It is impossible. So, conflict is inevitable. It is ironic that we are pronouns for social animals.
The principle of 'the physical world, humans, and human-made society' does not seem different. The orders keep influencing material and humans. I study and work on physical property and human nature. So, naturally, this is a story about the world and ourselves.
Artist, Jean Jung
물질의 질서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연구
: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
작은 알갱이들은 모여, 이 커다란 세상을 이룬다. 이것은 이치理致이다.
대단히 철학적이거나 어려운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당연히 그렇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학교에서 배운 작은 입자들(그것의 이름이 원자이든, 쿼크이든, 그 무엇이든)이 모여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 그것들은 단순히 모양과 크기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특성을 만든다. 흥미롭다. 의식없는 작은 알갱이들은 사물을 만들고, 생각하고 느끼는 생명체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생명들은 사회와 규칙을 만든다. 또 돌연한 변이로, 상상 못 할 방향으로 진화도 한다. 이것은 개체에도 단체에도 적용된다. 그 안에는 분명한 질서가 존재한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세상은 명료하지만, 그것에 대한 우리의 이해도는 불투명하다. 그 명료함 만큼, 불투명하다. 그 질서가 이상야릇하다.
작가가 생각하는 세상의 질서, 그 가장 기본규칙은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이다.
이것은 물건의 물리적 성질과 인간의 정서적 특성을 포함한다. 연구의 내용은 존재물, 즉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기체와 무기체를 상호작용하게 하는 약속에 관한 것이다. 약속은 질서이다. 물질과 정서를 움직이게한다. 세상의 질서는, 과정을 가시적으로 내보인다. 결과는 없다. 조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우리는 세상이라 부른다. 질서는 사이를 만든다. 사이는 서로 맺은 관계를 뜻하기도 하고, 한 곳에서 다른 곳까지의 공간이나 시간을 뜻하기도 한다. 사이에는 거리가 있다. 거리는 당기는 힘과 밀어내는 힘의 균형이다.
-물건사이의 거리: 우주 안의 행성들, 물건 안의 원자들처럼, 끊임없이 움직이며 유지되는 거리를 뜻한다.
-사람사이의 거리: 인간은 스스로와도 내외하니, 내 안에서도 사이가 생기고, 고민으로 발현된다. 타인과의 그것은 갈등이 된다.
이렇듯 세상은, 질서와 조화의 과정으로써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을 물리적으로 내보인다.
인간의 정신적, 정서적 부분 또한 물질의 질서와 다르지 않다. 각자의 가치관을 만들고 그것에 따라 움직인다. 누군가는 끊임없이 높으려, 누군가는 자유로우려, 누군가는 깊으려 평생을 바친다.
'물리적 세상과, 인간과, 인간이 만든 사회'의 원리가 달라보이지 않는다. 질서는 물질과 인간에 적용된다. 물리物理적 성질과 인간의 특성을 연구하고 작품한다. 자연스럽게 이것들은 세상과 우리에 대한 이야기이다.
작가 정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