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관價値觀의 가치價値 Value of Views
Artist's Note
|
작가 노트 |
Let’s focus on conflicts in relationships.
In the theme of 'Value of Views’, Jean Jung worked with a subtitle, 'Intolerance and diversity, somewhere in between’. My twenty-five-year-old cousin asks the forty-year-old me. “Is there anything good about growing old?” We've lived in the same house for 10 years, but we don't know each other. This was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People are unaware of the times and generations to which they don’t belong. To be specific, they have no will to know; it is regardless of age or sex. So, they don't know each other. Conflicts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values often divide society into two. This is likely to split sides, saying, there is ‘us’ and ‘them’, and we can’t live together. If so, is the difference in values itself a bad thing? Couldn't this become a tragedy if the sides are divided? and a comedy if they respect each other? For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face the misunderstanding. Respecting each others’ views of life, it starts with an effort to get to know the other without prejudice. Things you don't want to see never disappear when you close your eyes. Humans beings that must live in groups, are already well-aware that life is alone in the end. They each live with their own values; so, conflicts are inevitable. Their thoughts seem like ice or stones that have hardened to the point that they can no longer be rigid. Ironically, as humans reached to certain level of intelligence, they started to worship stones(gold, diamonds, etc). Beauty created money while money created beauty; it has repeatedly occurred. They themselves were also armed with values or beliefs, which grew stronger and stronger. And over time, it finally became their faith. Now, in order to protect their beliefs, they have started ignoring and threatening others. Since we are human, we must endure each other in the same space. Do my values stand for intolerant? or diversity? Maybe it is something that means nothing, but just worshiped with a golden frame. 2020.03 Artist, Jean, Jung |
관계 안의 갈등에 주목해 보자.
가치관價値觀의 가치價値'라는 주제에, '편협성과 다양성, 그 사이'라는 부제를 붙였다. 스물다섯인 그녀가 사십인 내게 묻는다. “나이 먹어서 좋은 게, 하나라도 있어?” 우리는 10년을 같은 집에 살았지만, 서로를 잘 알지 못한다. 이것이 프로젝트의 시작이었다. 사람들은 자신이 주인공으로 속하지 않은 시대와 세대를 잘 모른다. 정확히는, 굳이 알려하지 않는다. 이것은 남녀노소 예외가 없다. 그러니, 그들은 서로를 모른다. 가치관의 차이에서 오는 갈등은, 사회를 둘로 나누곤 한다. 이것은 자칫 편을 갈라, ‘우리와 그들을 만들어내고, 서로 저들과는 섞여 살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가치관의 차이 자체는 나쁜 것일까? 이것이 편을 가르면 비극이 되고, 서로 존중되면 희극이 되는 것은 아닐까. 이해를 위해, 오해를 직시 할 필요가 있다. 서로가 서로의 삶을 바라보는 시선을 인정하는 것. 그 시작은 상대를 바로 알고자 노력하는 것이겠다. 보기 싫은 것은, 눈을 감는다고 사라지지 않는다. 무리를 이루어 살아야만 하는 생명체인 인간은, 결국 삶은 혼자라는 것을 이미 잘 알고 있다. 그들은 각자 고유의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가니, 그 안에서 갈등이 필연적이다. 그들의 생각은 더 이상 딱딱할 수 없을 정도로 굳어진 얼음이나 돌덩이 같아 보인다. 아이러니하게도 인간들은 적당한 지능이 생기자, 돌(금, 다이아몬드)을 받들며 살기 시작했다. 아름다움은 돈이 되고, 돈은 아름다움이 되기를 반복하며 말이다. 그들 자신 또한 가치관 혹은 신념이라는 것으로 무장된 채, 더욱 더 단단해져만 갔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침내 신앙과도 같아졌다. 이제 그들은 자신의 믿음을 지키기 위해, 타인의 것을 무시하고 위협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인간이니, 같은 공간 안에서 서로를 견디며 살아가야만 한다. 나의 가치관은 편협함을 이야기하는가. 다양함을 이야기하는가. 아무 것도 아닌 그 어떤 것에, 금빛 프레임을 입혀 숭배하는 것은 아닐까. 2020.03 작가 정 진 |
베인 밤 Slashed Night Series
93x111.5cm(each)_Mixed Media_2020
베인 밤 Slashed Night Series; 파란 대문 집 House with a Blue Gate
가족도 다른 것이, 가치관이다. 그런 의미에서, 작가에게 <파란 대문 집>은 파란(波瀾)의 장이다. 다른 세대, 다른 생각들의 집결 장소이다. 모든 문들은 항시 손잡이를 가지니, 이 문을 열어 연결 할지, 이 문을 닫아 단절 할지는, 오롯이 잡은 자의 몫이겠다.
(1) 파란: 슬픔과 보편의 색 (2) 대문: 연결과 단절의 통로 (3) 집: 내밀함, 숨김과 휴식 Even family, they live for different view of value. In that sense, <the house with a blue gate> is a troublesome place where different generations and unlike thoughts gather together. It solely comes to our decision whether to open the door or leave the door closed. (1) Blue : sadness and generality (2) Gate : connecting / disconnecting (3) House : hiding and resting |
130x162m_Oil and Acrylic on Canvas_2020
이 사이트에서 관련 작가의 소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ShortStory >> 그들을 잃어가는 이야기 ] |
베인 밤 Slashed Night Series
Too Hard To Flow
그 집 안에는, 흐르기에는 너무나도 딱딱한 생각들이 각자의 방에 들어앉았다. 그리고 그것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단단해져만 갔다. As a snake is coiled up in the cave, each room filled up with different thoughts which were too exclusive to get along with. These thoughts were too hard to flow. It meant that they were still called ‘family’, but couldn’t understand each other. |
130x162cm_Oil and Acrylic on Canvas_2020
|
가치관의 가치 Value of Views
그들 중, 가장 작고 여려보이는 이들 또한, 마음 한 구석에서 각자의 단단한 생각을 금빛으로 감싸는데 열중하고 있었다. 그들은 논쟁을 싫어했으니, 그것들을 굳이 꺼내 보이지 않았을 뿐이었다. Even the most delicate ones, they were eager to cover their belief with gold in the corner of their mind. They just do not show it, only because they don't want controversy.
가치관의 가치 Values of Views
어쩌면 그들은, 여러 개의 문을 가진 하나의 공간 안에서, 숨바꼭질을 하는 사람들 같았다. 결국 게임은, 누구도 마주치지 못하고 끝이 날 것이다.
They seem to play hide-and-seek in a place with many doors and rooms. Eventually, they will end up finding no one.
가치관의 가치 Values of Views
어쩌면 그들은, 여러 개의 문을 가진 하나의 공간 안에서, 숨바꼭질을 하는 사람들 같았다. 결국 게임은, 누구도 마주치지 못하고 끝이 날 것이다.
They seem to play hide-and-seek in a place with many doors and rooms. Eventually, they will end up finding no one.
91x110cm_Oil and Acrylic on Canvas_2020 + Installation Cut
대화, 혹은 둘의 독백 A Dialogue or Two Monologues
91x110cm(each)_Oil and Acrylic on Board_2020
대화, 혹은 넷의 독백 A Dialogue or Four Monologues
그들은, '생각의 기본은 유연함이며, 대화의 기본은 흐름'이라 말했다. 그러나, 그들의 머릿속은 얼음덩이 처럼 차고, 신념은 거대한 바위덩이 같았다. 그 얼음과 바위가 바로 서지 못하면, 그들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They used to say that thinking starts from flexibility, and conversation starts from flow. However, their minds were cold as ice and hard as rock. If their ice and rock stood with bias, what would happen to them?
32x22cm(each)_Oil and Acrylic on Canvas_2020
Copyrightⓒ. Jung Je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