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 론 Critique by 미술평론가 홍경한 Art Critic Hong Kyounghan
Focusing on the recent works of artist Jean Jung,
The fundamentally Subjective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1)
Art Critic, Hong Kyounghan
The way of the world(Ichi 理致) is like the gray of the morning(Mi-myong 微明 2)). It is a subtle revelation and a slightly hidden brightness. It is the boundary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the intersection of the center and the edge; and also, the harmony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course, the reasonable logic of life(Jo-li 條理) is the same as that. It is filled because it is thrown away. It is united and separated. It is a cycle of beginning and end. 3) In that respect, the principle of the world has the same context as Jean Jung’s 'Height, Depth, and Flow'. Because it is all the work and beginning of the world; it contains all the basic rules that bind the physical and the mental. It is repeated without hierarchy and represents human nature in life as it is. They do not invade each other and form a relationship under a consistent balance over time. At this time, univocity and dogma disappeared. 4)
Since language is the acquisition of deleted meaning,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rationale(Ichi 理致) in his work. Most paradoxes defy the logic of rational grammar. The same goes for Jean Jung's art pieces. Due to its temperate language, the amplitude of thinking is widening; however, it’s har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 art form such as strokes of the painting or objects of the installation.
What is revealed on the outside is quite material, but it contains the belief or mind 5) that another form of integrated belief system can be created. So, his art is left to individual’s interpretation.
However, this is the beauty of abstraction. Although it weakens clear discovery or obvious perception, Jung’s art pieces have their own attractive characteristics: expressive ability to know where to stop and intentional exposure of the process, not the result. These elements make his work attractive and distinctive.
His work is filled with traces of dynamic movements. This is expressed as an organic and rhythmical form in pure abstraction where rules are ignored. And within it, there exists gaps: a gap from a certain time to another, a gap from one place to another, and a gap from bottom to top. There are ‘height, depth, and flow’. The series named <Deep in Mind, 2021>,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_Moss, 2021>, <Falling and Rising, 2021>, and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2022> are those works.
The works constantly ask questions, but the answers do not come back easily. To appreciate the art, it requires the emotions and unconsciousness, not consciousness. It can talk about novelty, because it is looser than perfect, and coarser than smooth. It weighs on the non-artificial act itself through contingency. So, naturalness is inevitable.
Therefore, the variation from his touch can create an unprocessed image under the dynamics of pressure. The image is primarily a lyrical reflection of the body and mind. It takes the form of free existence of mental and emotional elements in a chaotic space. This is especially shown by his recent pieces. 6) Only presence exists.
Jung's art pieces embody Eastern ideas with Western materials. He reveals his perspective on the order and balance of the world in a way that encompasses the boundaries between genres and disciplines. 7) This is quite contemporary. 8) In fact, his works are enhanced as it crosses between painting and installation. There are full of energy and vitality which is emotional and repetitive. Abundant rhythm and vivid movement are factors that capture the attention of others regardless of the content. 9)
His recent works are directly related to emotions. It allows us to discover a firm connection to the order and harmony of the world, reason(Ichi 理致) and truth, mind 10) and body. Although Jung's work seems uninhibited, it is quite structured. 11) The scattering of tiny grains compels a flat space. This can be defined as visual art based on human psychology.
The images of his art, which is closer to accidentally discovered rather than perfectly arranged, clearly shows human psychology. In other words, through the effort to find out and prove the significance of human existence, he wants to realize the reason(Ichi 理致) and approach the truth. He shows an attitude of looking back and looking at himself to do so. This is the most interesting point that can be felt in his art work.
As such, Jung’s 'Height, Depth, and Flow' is the result of an invisible order, that is, a path of creating harmony. They cause chemical reactions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ove towards a disturbed order as individual beings or beings constantly interacting together. According to artist’s expression, his Height, Depth, and Flow is ‘the process of order and harmony to the world, and also, the study of making the whole of one become a part of the great order again.’
His art world is impressive in many ways, but the most distinctive aspects are these. An experimental formative method that encompasses even space, a transforming and expanding scale, an intention to interfere his and others’ psychological state, and the fact that he builds upon his own strong and complicated creation structure while writing his own articles about relationships. Furthermore, it is also the significant and meaningful part of his art that while interacting with various kinds of living creatures and desires, he is trying to find the ‘gap’ as an entrance into a huge order of the world.
-----------------------------------------------------------------------------------------------------------------------------------------------------------------------
1) This title was borrowed from Jean Jung’s art work because it is most appropriate for the interpretation of this article
2) According to Tao-te-ching, a book by the philosopher, Lao-tsu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ancient China - about 700s - 400s BC, the way of the world (Ichi 理致) is the same as the gray of the morning(Mi-myong 微明).
3) The canvas, which alludes to circulation, is both captivating and ominous, life-affirming and obsessive. However, obsessive self-consciousness is not harmful and becomes a fascinating element of his work.
4) His painting is deterritorialized from the subject, and his overturned continent is established. Through deterritorialization and overturned continentalization, the distinctions between subject and object vanishes. This is an interesting point in his work.
5) Among the works related to the mind, there are <Blue Flow, 2021> and <Deep in Mind, 2021> series. These are the works that reconstruct the mountain landscape into internal order and harmony.
6) It is meaningless to seek the conscious truth in his paintings. Truth doesn’t have its own shape. It is inseparable from the belief that it is true, and belief is inseparable from the truth. Looking only at the exterior, his work stands out for a certain deficiency. Deficiency disintegrates the shape of truth, and the truth is chaos itself. It is expected that the contradictory harmony of a whole personality and a divided ego, or their collision. Therefore, his recent works (perhaps) are a continuation of the ‘present’
that opens up the things: the space in which self-identity is dismantled and the reality of a removed identity.
7) Jung has mainly done painting and installation. However, there are virtually no boundaries between genres.
8) Contemporary art is connecting differences rather than integration. Various objects and thoughts have a deep relationship under the name of recognition and respect. It includes the intervention of others, the change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openness, de-categorization, research, text and image, space-time… There is no boundary of the material, different things from each other make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out heterogeneity. They create new ways of communication and new form and matter; it finally moves on to art as translation.
9) It stands out in his art that a complete erosion of art dogma and art as a wandering, horizontal, and multi-layered world. Since the interpretation about his works are left entirely to viewers, they cannot help focusing on their own thoughts and experiences wandering between the real space and the space within the painting.
10) Psychological traits of human beings are often found in the formative aspect as well. For example, the urge to spill paint or to break and explode a shape beyond recognition is linked to human psychological reactions. In particular, the intermittently revealed blank space make the viewers aware of the process of flow; it helps them to feel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time continues without stopping.
11) This can also be referred to as the conscious unconscious. This implies accepted symbolism which is rational and moral and repetition compulsion which means compulsive urge to repeat something.
작가 정진의 근작을 중심으로,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에 대한, 지극히 개인적인 연구1)
미술평론가, 홍경한
세상의 이치란 미명(微明)2)이다. 이는 은은한 드러남, 살짝 감추어진 밝음이다. 있음과 없음의 경계요, 중심과 가장자리의 교차이며 벌어짐과 닫힘, 유와 무의 조화이다. 물론 그 세상에 발 딛고 살아가는 삶의 이치, 정당한 조리(條理)도 그것과 다름 아니다. 버리기에 얻고 비워서 채우는 것, 뭉치고 헤어지며 파편화된 것과 하나 됨의 다른 말이면서 시작과 끝의 순환3)이다.
그런 점에서 세상의 법칙이자 원리는 정진의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과 동일한 맥락을 지닌다. 그도 그럴 것이 작가정진의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에는 세상의 모든 일이자 시작이며, 물리적이면서 정신적인 것을 포박하는 이치의 기본 규칙이 모두 배어 있다. 그것은 위계 없이 반복되는 것으로, 있는 그대로의 삶 속 인간 본성을 관통한다. 서로에게 침탈하지 않으며 지속된 시간 위 일관된 균형 아래 관계 맺는다. 이때 어느 하나의 유일성, 독단은 폐위된다.4)
언어가 거세된 의미의 획득이기에 이치를 이해하는 건 쉽지 않다. 역설은 이성적 문법의 논리를 거스르기 일쑤다. 정진의작업도 마찬가지다. 절약된 언어를 지니기에 사유의 진폭이 넓어지는 반면 조형의 뜻을 헤아리기란 녹록치 않다. 드러남은 다분히 물질적이지만 다른 형태의 통합된 신념의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믿음 혹은 마음5)과 관련이 깊기에 사실상각자의 해석으로 남는 측면이 강하다.
하지만 그것이 추상의 묘미다. 명징한 어떤 발견내지는 명료한 인식의 공명은 무디게 하나, 족함을 알기에 멈출 줄도 아는 표현, 결과를 내놓는 게 아니라 과정을 담아내고 있다는 점은 정진의 작업을 변별하게 만드는 요소이자 매력이기도 하다.
다이내믹한 동세의 흔적들로 채워지는 정진의 작품들은 규칙이 무시된 순수 추상 안에서 유기적이고 리드미컬한 조형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그 내부엔 한때로부터 다른 때까지의 동안과 한곳에서 다른 곳까지의 거리, 아래에서부터 위까지 벌어진 사이의 크기가 존재한다. 높낮이도 흐름도 깊음도 녹아 있다. <마음풍경>(2021) 시리즈를 비롯해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에 대한 연구_이끼>(2021) 연작, <흐름, 오름>(2021) 시리즈,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에 대한 연구>(2022) 등이 모두 그렇다.
이들 작업은 끊임없이 묻지만 대답은 쉽게 돌아오지 않는 구조이다. 의식이 지배하는 눈이 아닌 감정과 무의식으로 바라봐야할 조형이라 해도 무방하다. 완벽함보단 헐거우며, 매끈하게 다듬어진 것보단 듬성하기에 오히려 새로움을 말할 수있다. 우연성을 통한 인위적이지 않은 행위 자체에 무게를 두기에 자연성이 깃들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한 획, 두어 번 그의 손길이 지날 때마다 형성되는 변주는 압(壓)과 떨침의 강약(强弱) 아래 가공되지 않은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 이미지는 일차적으로 몸과 마음에 대한 서정적 반영이자 정신적이고 정서적인 요소가 혼돈의공간 속에서 유영하는 양태를 띤다. 근작이 특히 그렇다.6) 현전 이외 그 어떤 현전도 존재하지 않는다.
굳이 적용하자면 서양의 재료로 동양의 사상을 조형으로 풀어내는 정진의 작업은 세상의 질서와 균형에 관한 관점을 장르 간 학제 간 교합의 방식7)으로 드러낸다. 이는 다분히 동시대적8)이다. 실제 그의 작업은 회화, 설치 등을 넘나들며 고양되며 감정적이고, 반복적인 창의적 활력과 충만한 에너지로 가득하다. 풍요로운 리듬과 생생한 동세는 그 내용이 무엇이든 상관없이 타자의 시선을 사로잡는 요인이다.9)
세상의 질서와 조화, 이치와 진리, 심리10)와 신체에 대한 확고한 연결을 발견하게 하는 그의 근작들은 감정과 관계 맺고마음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억제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상당히 구조화되어 있는11) 정진의 작업은 작디작은 알갱이들의 흩어짐이 평평한 공간을 강박하는 형식을 띠며, 인간 심리에 기반 한 시각조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완벽하게 배열되기보다는 발견된 이미지에 가까운 그의 작품은 인간의 심리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다시 말해 인간의존재 의의를 알아내어 증명하고자 하는 관물을 통해 그 도리를 알게 됨으로써 진리에 다가서고자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위해 자신을 되돌아보고 살피는 관아의 태도를 읽을 수 있다는 건 정진 작업에서 느낄 수 있는 가장 흥미로운 지점이다.
이렇듯 정진의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은 보이지 않는 질서, 즉 조화를 만들어 가는 경로의 결과이다. 이들은 서로 연결된 채 화학반응을 일으키고 각각의 존재로서 혹은 끊임없이 교류하는 위치에서 교란된 질서를 지향한다. 정리하는 차원에서 작가의 표현을 빌리자면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은 “세상에 대해 질서와 조화의 과정”으로서, “‘하나’의 완전체가, 다시 거대한 질서의 구성원이 되게 하는 바로 그것”을 연구하고 기록하는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인상적인 건 공간마저 포괄하는 실험적인 조형방식과 변형되고 확장되는 스케일, 마음의 내외를 간섭하는 행위, 그리고 관계에 대한 새로운 구문을 만들어 내면서 강력하고 복잡한 자체 생성 구조로 계층 구조를 대체한다는사실이다. 나아가 세상에 거주하는 다양한 욕망의 존재들(물), 생명들과 상호교류하며 스스로 혹은 각자 거대한 질서에들어서는 ‘틈’을 읽어내려는 것 또한 그의 작업에서 엿볼 수 있는 의미 있는 부분이다.
-----------------------------------------------------------------------------------------------------------------------------------------------------------------------
1) 정진 작가 작품 제목에서 빌려왔다. 본고의 해석에 가장 적절하기에.
2) 노자의 도덕경에 의하면 세상의 이치란 미명이다.
3) 순환을 암시하는 캔버스는 동시에 매혹적이면서 불길하며, 삶을 긍정하면서도 강박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강박적인자기의식은 해로운 것은 아니며 정진 작업의 매혹적인 요소가 된다.
4) 그의 회화를 다른 관점에 보면 주체로부터의 탈영토화, 전복된 대륙이 구축된다. 전복된 대륙화와 탈영토화를 거치면서 주체와 대상 사이의 구분은 사라진다. 이 역시 그의 작업에서 꽤나 흥미로운 지점이다.
5) 마음과 관련된 작업 중에는 <푸른 흐름>(2021) 연작과 <마음 풍경>(2021) 시리즈 등이 있다. 산의 풍경을 내적 질서와 조화로 재구성한 작업이다.
6) 흔히 갈구하듯 그의 그림에서 의식화된 진실을 찾는 건 우매하다. 진실은 본래 형체가 없다. 이는 사실이라는 믿음에서 분리 불가능하고 믿음이란 진실로부터 떨어질 수 없다. 사실상 외적 여운만 놓고 보자면 그의 작품은 어느 하나의 결핍이 두드러진다. 결핍은 진실의 형체를 와해시키고, 진실은 혼란 그 자체이다. 완벽한 고리에서 복제된 하나의 인격과분열된 자아가 충돌하거나 모순적으로 조화되는 상태 역시 가늠된다. 따라서 그의 근작들은 (어쩌면)자아의 동일성이 해체된 공간, 거세된 동일성의 현실을 개방하는 ‘현재’의 연속이다.
7) 정진은 회화와 설치를 주로 해왔다. 그러나 사실상 장르 간 경계는 없다.
8) 동시대미술의 지형은 타자의 개입과 개방성(주체의 양도 현상), 탈장르, 리서치 등 텍스트와 이미지, 시간과 공간들-다양한 스토리가 내재된 각기 다른 군도의 작은 공존적 집합, 다양성의 인정-이 서로 깊은 관계(혼성화)를 맺고 통합이아닌 다름을 잇는 양태를 보인다. 또한 서로 다른 무언가가 이질성 없이 연속적 관계 맺음을 통해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과 형식 및 내용 형성하고, 번역으로서의 예술로 나아가고 있다. 예술 도그마의 완전한 침식, 유랑적, 수평적, 복층의 세계로서의 예술이라는 점도 하나의 특징이다.
9) 그의 작품은 순전히 관람자의 몫으로 내던져 놓이기에 그의 그림을 접하는 사람들은 각자의 해석에 치중하게 되며, 현실의 공간과 그림 속 공간을 배회하게 된다.
10) 조형적으로도 심리성은 심심찮게 발견된다. 예를 들면 물감을 흘리거나 인식 불가능할 만큼 형태를 부수고 폭발시키려는 충동은 인간의 심리 반응과 연결된다. 특히 간간이 드러나는 여백은 흐름의 과정을 의식하게 함으로써 관객이 개체간 관계와 시간은 멈추지 않고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느끼도록 돕는다.
11) 이는 의식적 무의식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합리적이고 도덕적이며 용인된 상징과 반복강박 내외에서 빚어진 모든 것을 함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