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G . JEAN
  • Home
  • Work
    • 2023-2021 ​​The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 2023-2021 Rising Only Comes After Falling
    • 2022-2020 DeepInMind
    • 2020 Value of Views
    • 2020-2018 Snailman
    • 2019 Story of Losing Them
    • 2017-2016 Project White
    • 2017-2016 Project Pink
    • 2017-2012 Project Pieces
    • 2015-2013 Project Red
  • ShortStory
    • 2019 Story of Losing Them
    • 2018 Snailman
  • CV
    • English
    • Korean
  • Statement
  • Critique
  • Contact
Project Pieces: The Studies of Parts and Whole, 부분과 전체에 대한 연구

​
In 2000, pieces as Objects, In 2012, pieces as Human, In 2017​, pieces as emotion and meaning.
2000년 물건으로서의 조각, 2012년 인간으로서의 조각, 2017년 감정과 의미로서의 조각

​​
​
Project Pieces 2017 : The Scene, The Sin

​

Picture
​GPS#  35.5299... / 129.3962...

First day in Ulsan City for residency. While taking a walk, Jean Jung sees a collapsed house - an abandoned, neglected, forgotten house. And there were all kinds of things lying around. They had become something dirty along with the collapsed house. These are truly 'meaningless things’. Jung collected them one by one, made a room(grid) for each, and placed them there.
레지던시를 위해 울산으로 간 첫 날. 작가는 산책 중, 무너진 폐가를 보게된다. 버려진 것, 방치된 것, 잊혀진 것. 그리고 그 안에는 온갖 종류의 물건들이 무너진 집과 함께 더러운 어떤 것이 되어 나뒹굴었다. 이것들은 참으로 ‘의미없는 것들’이다. 작가는 이것들을 하나 둘 모으고, 각자의 방(그리드)을 만들어 안치하였다. 
​


Picture
2017 | Installation @ YeomPo Art Residency(염포예술창작소), UlSan
​
In each room, the artist's impressions of seeing and feeling them were also written down. In fact, their essence has not changed before, after, or until they are placed in a gallery. It is just that Its meaning used to be given by someone, was taken away, and now is given different meaning. The grid is placed at the edge of infinitely expanding space-time. The ends of the tape, which is forming grid, were left uncut, meaning infinite expansion. It is the artist's will to find meaning in objects and emotions that are constantly and meaninglessly discarded. The world is overflowing with things, which are endlessly and meaninglessly discarded.
방 안에는 그것들을 보고 느낀 작가의 감상도 적어넣었다. 사실 그것들은 버려지기 전에도, 버려진 후에도, 갤러리에 놓여질때까지도, 그 본질이 변한 것은 없다. 다만, 누군가에 의해 의미가 주어지고, 그것을 빼앗기고, 다른 의미가 주어진 것 뿐이다. 그리드는 무한히 팽창하는 시공간의 모서리에 놓이게 된다. 테이프로 된 그리드의 끝을 자르지 않고 그대로 두었는데, 이는 무한한 확장의 의미이다. 끊임없이, 무의미하게 버려진 사물들과 감정들에게 의미를 찾아주려는 작가의 의지이다. 세상에는 끝임없이 무의미하게 버려지는 존재들이 넘쳐 난다.

​
Picture

It could be a thing, an emotion, or a person. We throw it away, ignore it, forget it, regardless of our intention. This is no different from those objects that used to be garbage. The video was taken of the artist's walking path, which is the beginning of her work. Garbage settles in the gallery and comes to the viewer in a certain way. The black grid is connected from floor to wall. This is the intention to move the abandoned objects on the ground to the gallery wall, allowing people to look at the abandoned objects in a new, meaningful, and artistic-perspective way.
이것은 사물 일 수도, 감정 일 수도, 사람 일 수도 있겠다. 우리는 의도하거나 의도치않게, 버리고, 무시하고, 잊는다. 이것은 마치 쓰레기였던 저 오브제들과 다르지 않다. 영상은 작업의 시작이 되는 작가의 산책 길을 찍은 것이다. 쓰레기들은 갤러리에서 자리를 잡고, 보는 이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다가오게 된다. 검정의 그리드는 바닥에서 벽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땅에 버려진 물건들을 갤러리 벽면으로 옮겨, 사람들로 하여금 버려진 것들을, 예술의 눈으로 새롭게 , 의미있게, 바라보게 하려는 의도이다.

​

Picture
Picture

The work includes returning objects to the abandoned house where these used to be placed. On the last day of the exhibition, the objects and tapes were removed by the visitors, and Jung gathered objects and put them back where they were. Collecting and locking them up is so difficult while tearing them apart and abandoning them is so easy.
전시는, 이 물건들이 전에 있던 폐가로 돌아가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전시의 마지막 날, 오브제와 테이프는 관람객들에 의해 치워졌고, 작가는 그것들을 다시 모아, 그 물건들이 있던 곳에 돌려놓았다. 고르고 가두어 놓음은 그렇게나 어려운데, 뜯어내고 버림은 한 순간이다.

​



​

​​Project Pieces 2017 : 남겨진 감정들 (의미부여 | 意味附與)
​

Picture
2017 |  Installation | WoodPrint
@ Bucheon Cultural Foundation(부천문화재단), Bucheon
@ YeomPo Residency(염포예술창작소), UlSan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작품이다. 질문은 사람의 외로움에 대한 것. 질문이 외로움인 이유는, 그 시절 작가의 마음을 투영한 것이다. 어느 순간 이런 생각이 들었다.  '나만, 이런가?' 그 길로 이 인터뷰를 기획했다.
Picture
작가는 인터뷰어가 되어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인터뷰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문장을 하나의 목판에 새겼다. 목판, 즉 나무는 인간과 가장 닮은 재료이다. 그래서 그것에 외로움을 각인시키는 행위는 마음에 외로움을 새기는 행위와 닮아 있다. 마음을 새기고 남은 찌꺼기들, 그 작은 톱밥들을 버릴 수 없어 고이 모아 봉투에 담았다. 하나의 목판에서 나온 톱밥들을 하나의 봉투에 담고, 그 마음 주인(인터뷰이)의 이름을 써 봉인했다. 목판의 내용은 종이에 옮겨 찍고, 목판으로 차곡차곡 탑을 쌓았다.
탑의 그림자는 테이프로 표시해 남겨두었다. 외로움으로 쌓은 탑은 그림자도 슬프다.
Picture
외로움이 든 자리는, 조각칼로 베이듯 아리고, 외로움이 난 자리는, 지워지지 않는 흔적으로 남는다. 목판은 탑이 되고, 마음은 글이 되고, 그 부스러기들은 봉인되었다.
무진기행(1964)에서 주인공은, 쓸쓸함이란, '다소 천박하고 이제는 사람의 가슴에 호소해 오는 능력도 거의 상실해 버린 사어같은 것'이라 했다. 그러나 그는 쓸쓸했고 무진을 여행했다. '왜 나만, 이렇게 힘들까? 남들도 그럴까?' 그 궁금증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주변의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있다. 이야기하는 동안 우리는, 서먹하기도, 불편하기도, 웃기도, 울기도 했다. 서로 마주보고 진심으로 귀기울여주는 것만으로도, '인간성'의 회복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Picture
그들은, 나와 다르지 않다. 본인 조차도 무어라 정의하기 힘든 감정, 혹은 그저 내버려둔 감정. 그것들에 쓸쓸함, 외로움, 고독함 등의 이름을 붙여, 사람들에게 물어보았다. 이렇게 작업은 Q&A의 형식을 하고 있다.
Picture
전시는 2012년 미시건, 2017년 부천, 2번에 걸쳐 진행되었지만 추후에도 계속 작업이 될 것이다.

​
2017 | Performance | with 무용가 조아라
Picture

​


​
Project Pieces 2012 : ​The Interview

​

Picture
Picture
2012 | Installation | mixed media | 전시명:Passerby#3-His Island @ Duderstaut Gallery
슬프고 고독하다 생각하지만, 이유룰 알 수 없었다.
왜 일까? 나만 이럴까?

외로움, 슬픔, 자신감 결여, 자존감 결핍, 향수, 이별... 등등의 단어로는 정의되어 질 수 없는 복합적인 어떤 것. 이것의 실체를 확인하기위해, 인터뷰를 시작했다.
30명과의 인터뷰, 그리고 노트들. 시작은, '다른 사람들도 나처럼 살고있을까?' 라는 궁금증이었지만, 질문과 대답이 오고가면서, 단순히 질문하고 대답하는 작은 관심만으로도, 서로에게 치유가 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I’d suffered from the unknown and unnamed pain.
It was not loneliness, sadness or self-consciousness. I had to know where it comes from and what's its name. I wondered what others feel and think, so I decided to interview people around me.

Project Pieces 2000 : JoGak

​나는 한번 내것이 된 것을 잘 버리지 못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2000~2013년 까지 14장의 사진과 그 사진 속에서 입고있던, 14벌의 옷을 모두 간직하고 있다. 그것은 나의 14년을 돌이켜 볼 수 있는 물건들이며, 나의 외할머니가 그러하셨듯, 나는 그 옷을 조각내어 하나로 이어갔다. 기억은 언제나 그대로가 아니고, 스스로에 의해 재탄생 되듯이, 작업은 하나의 거대한 보자기로 완성되었다. 아래의 사진들은 그 조각보에서 시작되었다. 
Memories are alive. They are living and dying with us. Our memories are like falling flowers. We would fall down like their pedals; and finally, they would fall all down.
​​The House in my Mind.
Finding my memories and hiding them from others. 
​
That's the way I protect myself from them.
Picture
​2013 | Performance with the JoGakBo


​​Copyrightⓒ. Jung Jean.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Create your own unique website with customizable templates.
  • Home
  • Work
    • 2023-2021 ​​The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 2023-2021 Rising Only Comes After Falling
    • 2022-2020 DeepInMind
    • 2020 Value of Views
    • 2020-2018 Snailman
    • 2019 Story of Losing Them
    • 2017-2016 Project White
    • 2017-2016 Project Pink
    • 2017-2012 Project Pieces
    • 2015-2013 Project Red
  • ShortStory
    • 2019 Story of Losing Them
    • 2018 Snailman
  • CV
    • English
    • Korean
  • Statement
  • Critique
  •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