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G . JEAN
  • Home
  • Work
    • 2023-2021 Trigger - The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 2023-2021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 2022-2020 DeepInMind
    • 2020 Value of Views
    • 2020-2018 Snailman
    • 2019 Story of Losing Them
    • 2017-2016 Project White
    • 2017-2016 Project Pink
    • 2017-2012 Project Pieces
    • 2015-2013 Project Red
  • ShortStory
    • 2019 Story of Losing Them
    • 2018 Snailman
  • CV
    • English
    • Korean
  • Statement
  • Critique
  • Contact
Project Red
​
​
Red = Life​
​
작가에게 붉음은 치열하고 고단한 삶이다.

Song of the Gypsy
​

Picture
작가의 머리카락을 잘라, 붓을 삼고, 바이올리니스트의 그림자를 따라, 그리다.


<집시의 노래>
원하는 것을 위해, 몸이 떠도는 것이 집시라면, 우리는 많은 것을 가지고도 마음이 떠도는, '현시대의 집시' 이겠다.
​​2015 | Installation & Performance @ Seoul Arts Center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Music : Pablo de Sarasate 사라사테 < Zigeunerweisen 치고이네르바이젠 > Violinist, Simon Young kim
​


​
​The Way They Talk, 대화

Picture
2013-2014 | Installation & Performance @ Seoul Arts Center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 Gallery Han (갤러리 한)​
Three people were talking. This was the beginning of this work. To whom were they showing themselves? Sometimes, the words that scatter out of people's mouths seems empty like an echo. Is conversation just another step of the evolution for sociality? Suddenly, something like a thread came out of their mouth and got stuck in the other's head, stuck in the heart. It moved as if stitching each other's reason and emotions. We talked for a while, countless threads proportional to the time were entangled in each other's heads and hearts. Someone left his seat. The threads were cut sharply. The conversation was over. Traces remained and trembled.
세 명의 사람들이 이야기하고 있다. 이것이 작업의 시작이었다. 그들은 누구를 향해 자신을 내보이고 있는 것일까? 때로, 사람들의 입 밖으로 흩어지는 단어들이 메아리처럼 공허하다 생각 될 때가 있다. 대화는 그저, 사회성을 위한 진화의 한 단계일 뿐일까? 갑자기 그들 중 한 명의 입 속에서 실 같은 것이 나와, 상대방의 머리에 박힌다. 심장에 박힌다. 그것은 서로의 이성과 감정을 꿰매 듯 움직인다. 우리는 한참을 이야기했고, 시간과 비례한 무수한 실들이 서로의 머리와 심장에 얽히고 설켜있다. 누군가 자리에서 일어난다. 실들이 예리하게 잘려나간다. 대화는 끝이 났다. 흔적들이 남아 흔들거린다.



Picture
2015 | Installation & Performance @ SeongNam Arts Center (성남아트센터) &  Soohoh Gallery (수호 갤러리)
(1) 의자가 있는 이야기 2015 (위)
이 자리에 앉는 이. 대화의 삼각형 속, 하나의 꼭지점이 되어라. 남은 둘을 연결하여 대화를 완성하라. 그래서 누구도 앉지 않았나?
(2) 속마음 2015 (위)
​가끔, 나의 이야기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고 느낄 때, ‘속을 뒤집어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특히, 사랑이라는 감정을 언어로 전달 할 때 그러하다. 붉은 실은 인연이라 했다. 누군가는 그것을 연결하지만, 누군가는 그것을 끊어낸다. 이야기와 같이 감정 또한, 자신과 타인을 속이기도 한다. 이것은 '진정한 감정'이었나?
(3) 무수한 실 이야기 2013-2014 (아래) 
세 명의 사람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다. 우리는 하나의 책에 대해 토론하는 중이다. 갑자기 그들 중 한 명의 입 속에서 실 같은 것이 나와, 서로의 이성과 감정을 꿰매 듯이 움직인다. 우리는 한참을 이야기했고, 시간과 비례한 무수한 실 들이 서로의 머리와 심장에 얽히고 설켜있다. 누군가 일어난다. 실 들이 예리하게 잘려 나간다. 대화는 끝이 났다. 이것은 '진정한 대화’였나?
Picture
2013-2014 | Installation & Performance @ Seoul Arts Center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
​​The Way They Talk; Life, Red


Picture
Passerby#3-His Island,_Fabric,Thread,Wood_Installation_2013 @Duderstaut Gallery
Picture

​The times, are woven like the warp and weft of the fabric; can become as a day and a history. The warp and weft are probably composed of countless conversations. People, and things between people. And a huge river formed by accumulating them. It is red and hard. It is red because it is hard. Life seems like a river, just like this red river.
시간들이 직물의 날실과 씨실같이 엮여, 하루가, 역사가 된다. 그 날실과 씨실이라는 것은 아마도 무수한 대화로 이루어진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일들. 그리고 그것들이 쌓여 이루어 내는 거대한 강. 그것은 붉고 고단하다. 고단하여 붉다. 삶이란, 딱 그런 모습의 강과 같아 보인다.




​​Copyrightⓒ. Jung Jean.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Create your own unique website with customizable templates.
  • Home
  • Work
    • 2023-2021 Trigger - The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 2023-2021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 2022-2020 DeepInMind
    • 2020 Value of Views
    • 2020-2018 Snailman
    • 2019 Story of Losing Them
    • 2017-2016 Project White
    • 2017-2016 Project Pink
    • 2017-2012 Project Pieces
    • 2015-2013 Project Red
  • ShortStory
    • 2019 Story of Losing Them
    • 2018 Snailman
  • CV
    • English
    • Korean
  • Statement
  • Critique
  •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