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NG . JEAN
Home
Work
2025-2024 Mind Garden
2025-2021 The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2025-2021 Rising Only Comes After Falling
2024 EmptyPortrait
2024-2020 DeepInMind
2020 Value of Views
2020-2018 Snailman
2019 Story of Losing Them
2017-2012 Project Pieces
2017-2016 Project Pink
2017-2016 Project White
2015-2013 Project Red
CV
English
Korean
Artist'sStatement
View of World
Height, Depth, and Flow
>
Order in Becoming
Mind Garden
>
Broken Rainbows
Critique
Contact
[
관조와
관아의
순환
,
말미암은
틈
]
나와
세상의
주변을
고요히
살피는
관조觀照
+
자신을
되돌아보고
살피는
관아觀我
.
더
깊은
관조를
위해
관아하고
,
관아를
통해
다시
관조하는
순환
.
이것이
점점
더
자신의
안팎을
파고들게
한다
.
존재와
그것들의
순환
속
틈은
,
변화의
숨구멍이
된다
.
관조와
관아의
순환
,
말미암은
틈
.
이것들이
존재와
변화를
끊임없이
묻게
한다
.
순환과
틈
]
*
시작과
끝이
순환한다
.
있음과
없음
,
연결과
단절
,
안과
밖
…
이것들이
무수히
발버둥치며
교차하고
교환된다
.
버리고
채우고
뭉치고
흩어지는
행위가
파편도
만들고
하나됨도
만든다
.
한정된
공간
(
캔버스
혹은
갤러리
)
에
이것들을
보이려니
,
강박적이고
도가적이길
반복한다
.
순환은
질서가
되고
,
질서
안의
틈은
,
사유의
빌미가
된다
.
그것들이
작가의
마음
안팎을
참견하고
,
관계에
대한
새로운
리듬과
운율을
갈구하게
한다
.
순환
은
작가의
생각
,
작가의
캔버스
,
작가의
흰
공간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
작품과
관람자
,
관람자와
작가
사이도
순환한다
.
서로
다른
세
주체가
서로
연결된
채
,
각각의
주체적
존재로서
교류한다
.
함께
관조하고
,
함께
관아한다
.
이것은
마치
하나의
완전체들이
다시
거대한
질서의
구성원이
되게하는
모양새이다
.
이것이
보이지
않는
연결이
되고
,
지극한
언어가
된다
.
점점
더
확장되는
질서와
점점
더
깊어지는
조화의
과정을
추구한다
.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인
자아自我는
,
본래
형체가
없고
결핍이
있다
.
결핍은
자아를
와해시키는
동시에
그것을
증명한다
.
그러니
한
명
(
작가
)
의
인격과
그의
분열된
자아가
충돌하는
것은
,
모순이자
진실이다
.
이것들의
동일성이
해체되면
,
작가의
세계는
현재들의
연속이
된다
.
그
어떤
시제도
존재하지
않는다
.
이것은
질서의
순환
안
‘
틈
’
의
시작
으로
,
존재의
변화
그리고
질문의
시작이
된다
.
존재와
변화
]
자연스러운
질서
,
그
안의
리듬
,
숨겨지지
않았으나
보이지
않는
구조의
틈
,
그것들에
주목한다
.
있음은
존재의
기본값
이다
.
동시에
작가에겐
탈피와
전복의
빌미
가
된다
.
탈피와
전복의
전제는
,
질서의
존재이기
때문이다
.
이러한
아이러니는
독단적
유일성과
완벽성을
말소시킨다
.
상충은
갈등으로
발현되고
주체와
대상의
구분을
사라지게
한다
.
변화를
조장한다
.
역설은
언제나
기존의
규율을
벗어나게
하지만
,
인간
본성과
가깝다
.
그것이
물리적
정서적
개념적
경계와
틈이
된다
.
이
경계와
틈은
변화의
전조이다
.
유일성과
완벽성이
말소된
모든
현존은
결국
,
변화의
과정이다
.
어떤
존재의
리듬과
결을
오랜시간
관찰하면
,
그
곁의
경계와
틈의
존재
또한
보인다
.
물리적
정서적
개념적
경계와
틈
.
그것들을
사유하며
발생하는
감각과
의미를
탐미한다
.
그리고
과장
없이
절제된
언어로
적어
묻는다
.
물음
]
작가에게
글이란
,
물음
이다
.
글
,
은
생각의
언어로써
궁금한
것들을
기록하고
기억하는
매체이다
.
물음을
찾고
물음에
대한
스스로의
답을
적고
,
그것을
읽고
다시
묻는
것
,
이
연속한다
.
쓰기는
오래된
습관이다
.
그것이
작가의
영역
안에서
쓰기의
역할이다
.
절제된
언어는
사유의
사위를
넓히곤
한다
.
보여지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믿기
때문에
,
상대
(
사람
,
사물
,
감정
,
이론
등
..)
의
감춰진
신념
체계를
궁금해
하고
,
그
발견된
질서를
전복시키려
노력할
수
있다
.
이런
하나의
관념
체계가
삶에
적용되는
모양새를
보이는
것은
,
추상의
가장
아름다운
부분이다
.
작가는
작품하기
전
,
글을
쓴다
.
시
에세이
소설
극본
등
형태가
다양하다
.
그것을
미술화한다
.
언어와
미술의
감각이
,
보이지
않는
틈
그
너머에
대한
사유를
시도하게
한다
.
작가의
움직임으로
완성된
작품들
,
또한
물음
이다
.
작가의
글
언어가
미술
언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
동세는
획이
되고
,
획은
흔적이
된다
.
흔적들로
채워진
캔버스와
공간은
온갖
물음들로
가득찬다
.
작가의
물음은
완벽함
보다는
느슨함
,
말쑥함
보다는
거칢을
향해
전진한다
.
그
마음이
몸과
연결된다
.
손
끝
압은
,
캔버스에
강약을
남긴다
.
자유로운
동시에
강박적인
것이
,
작가의
작품을
작가의
작품이게
한다
.
이곳에서
저곳으로
생성되는
획들은
,
이때에서
저때를
관통하는
삶의
흔적이다
.
스스로가
만든
질서를
부수고
싶은
충동과
그럼에도
남기고
싶은
여백이
,
작품
안에
‘
강박과
용인의
무한한
대화
’
를
이끈다
.
순환과
질서가
낳은
틈과
변화라는
동요는
,
이
모든
물음의
시작이
된다
.
다시
,
시작과
끝의
순환이다
*
작가의
작품은
‘
순환과
물음의
무한한
연속
’
으로써
,
결과가
아닌
과정
이다
.
그러니
작품은
트리거로써
존재한다
.
만드는
이와
보는
이
,
모두의
안에
존재하는
어떤
씨앗을
건드려
꽃피게
하는
.
그러니
작품은
이해를
강요하는
언어가
아닌
,
감응의
언어로
존재하길
바란다
.
말보다
먼저
다가오는
울림
,
으로
시작
*
되길
바란다
.
+
장르간
경계는
없다
.
시리즈의
기획이
끝나면
,
가장
적합한
재료를
찾아
작품한다
.
장르를
탈피한
개방성을
가지는
것은
,
텍스트와
이미지
,
시간과
공간
,
리듬과
동세
,
음악과
무용
등
가능한
모든
개념과
물질을
활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
다름을
인정하고
수용한다
.
다름의
공존이
부르는
갈등과
화합은
자연스러운
것
,
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
말미암아
,
새로운
형식과
방식이
만들어지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
+
참조
,
작가의
언어
1
하양
잃어
버린
것들
+
버린
것들
,
즉
무의식과
의식을
통해
내
안에서
없애버린
사람
,
사물
,
사건
,
감정
…
등을
이야기한다
.
2
핑크
자궁
.
하나의
세계와
다른
세계를
연결
혹은
단절시키는
문으로서
존재한다
.
3
심장
순환을
뜻한다
.
4
마음
가든
세상에
숨어
자신을
가꾸고
돌보는
,
지극히
개인적인
휴식과
반추의
장소
. ‘
가든
’
은
영어의
garden
과
한글의
마음이
가볍고
상쾌한
상태를
모두
지닌다
.
5
자아
자아自我
(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
는
작가의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
작가의
미술과
문학에
등장하는
‘
새
’
는
동음이의어인
자아慈鴉
,
즉
갈까마귀를
참조하였다
.
Home
Work
2025-2024 Mind Garden
2025-2021 The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2025-2021 Rising Only Comes After Falling
2024 EmptyPortrait
2024-2020 DeepInMind
2020 Value of Views
2020-2018 Snailman
2019 Story of Losing Them
2017-2012 Project Pieces
2017-2016 Project Pink
2017-2016 Project White
2015-2013 Project Red
CV
English
Korean
Artist'sStatement
View of World
Height, Depth, and Flow
>
Order in Becoming
Mind Garden
>
Broken Rainbows
Critique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