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Height, Depth, and Flow
작가가 생각하는 세상의 질서, 그 가장 기본 원칙은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 이다. 이것은 물체의 물리적 성질과 인간의 정신적 특성을 포함한다. 연구의 내용은 존재물, 즉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기체와 무기체를 상호작용하게 하는 약속에 관한 것이다.
모든 약속들이 상호작용하며 세상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완성과 결과’는 존재하지 않는다. 세상은, 질서와 조화의 과정으로써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을 물리적으로 내보인다. 인간의 정신적, 정서적 부분 또한 물질의 질서와 다르지 않다. 각자의 가치관을 만들고 그것에 따라 움직인다. 누군가는 끊임없이 높으려고, 누군가는 자유로이 흐르려고, 누군가는 한없이 깊으려고 평생을 바친다. 인간과 인간을 휘감은 우주 안에서, 질서는 과정을 가시적으로 내보인다. 결과는 없다. 조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우리는 세상이라 부른다. 사람도 그렇다. 완성된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이다. 세상을 이루는 근본인 <높고 낮음, 흐름, 깊고 얕음>은 물질과 인간에 적용된다. ‘물리적 세상과, 인간과, 인간이 만든 사회’의 원리가 달라 보이지 않는다. 물리적 성질과 인간의 특성, 그들의 질서. 이것은 자연스럽게 세상과 나, 우리에 대한 이야기이다. |
I believe that the most fundamental order of the world is expressed through Height, Depth, and Flow. It governs not only physical properties of objects but also the emotional and mental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The essence of this research lies in what I call the promise - an interaction between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s, and even inorganic substances. This promise is the order itself. It moves both matter and emotion, making the world’s processes visible and tangible. The world, as a process of order and harmony, physically manifests itself through Height, Depth, and Flow. The mental and emotional aspects of humans are not so different. We create our own values and live by them. Some devote their lives to constantly reaching for height, some for endless freedom, and some for depth. Yet, it is difficult to accept what is different from ourselves. We know we ought to embrace these differences - but it is never easy. The principle of the physical world, of human beings, and of human-made societies do not seem so different after all. Orders continuously shape both matter and humanity. I study and work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world and the nature of humans. And so, quite naturally, this becomes a story about the world - and about ourselves. |
: The Moss
Gap, in between. A very tiny, trivial space, which may be the result of petty crack. The green life that is born there, grow, and fill up with itself. It is not only terribly trivial, but also the beginning of all living things. We dare to call it great life. : 이끼 틈. 그 사이. 그러니까 소소히 갈라져 미천하게 작은, 바로 그 공간. 그곳에서 태어나, 그것을 온통 메우며 자라는 푸른 생명. 지독히 하찮으나, 모든 산 것들의 시작이라는, 감히 거대한 생명. |
작업 중에 계속 되뇐 단어가 있다
언제나 뒤에 부정이 따르는, 차마 예를 들면 -차마, 그러지 못했다 사전적 의미는 이렇다 (부끄럽거나) 안타까워서 감히 해야 할 것이 있는데, 하지 못한 이유 할 수 있는데, 그러지 않은 이유 안타까움 |
이 단어에서는
새 한 마리가 보인다 작은 둥지를 맴도는 떠나고 돌아오고 다시 떠나기를 반복하는 건강한 두 날개를 펼치고 튼튼한 두 다리로 둥지를 박차지만 이내 제자리인 |
작아져 버린 둥지가 너무 포근해
포근한 둥지가 이제 너무 작아 이미 오래전 그것을 알아버렸지만, 차마… 이 단어에서는 가벼운 몸과 너른 날개를 가지고도 날지 못하는 한 사람이 보인다. |
자연스러움.
세상에서 가장 아늑하고, 사랑스러우며, 본질적으로 무섭고, 그 속을 알 수 없는 것. 무엇보다 그것에는, 감정이 없다. 그것은 의지 없이, 이치를 따른다.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한다. 그것이 우리의 환경이다. 그 안에서 살아가는 것은 우리의 일이다. 그러니 우리는 존재를 위해, 서로를 돕는다. 그것은 우리의 자연스러움이다. Naturalness It is the most cozy and lovely in the world, intrinsically frightening, and secretive. Above all, it has no emotions. It follows logic without will. It does what it is supposed to do. It is our environment. It is our fate to live in it. So, we help each other for our own existence. It is our naturalness. |
<< Installation @KEPCO gallery 한전아트센터
Text 1) 작고 하찮고 쓸모있는 세모 A small, trivial, and useful Triangle Text 2) 안녕하세요! (안녕安寧: 아무 탈 없이 편안함. 편한 사이에서, 서로 만나거나 헤어질 때 정답게 하는 인사말.) An Nyung Ha Se Yo! (Hello: a word of greeting between people in a comfortable relationship, used when meeting or parting. Literally means ‘peaceful and without trouble’.) |